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한 20살 딸에게 아버지가 전하는 다정한 편지. 화, 불안, 무기력함의 진짜 원인은 충족되지 못한 5가지 기본 욕구(생존, 사랑, 힘, 자유, 즐거움)에 있음을 알려줍니다. 내 감정의 진짜 주인이 되어 삶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자신의 진짜 욕구를 발견하고 작은 체험부터 시작하며 새로운 나를 만나는 법을 안내합니다.
네 마음과 감정의 진짜 주인 되기를 바래.
사랑하는 내 딸에게.
네가 스무 살이 되어 어엿한 사회의 일원으로 첫발을 내딛는 모습을 보니, 아빠의 마음은 대견함과 설렘, 그리고 한편으로는 작은 걱정으로 가득 차는구나. 이제 너는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을 살펴보고, 수많은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너만의 길을 만들어가겠지. 그 길 위에서 분명 눈부시게 행복한 순간도 많겠지만, 때로는 이유를 알 수 없는 화나 불안, 깊은 우울감에 발목을 잡히는 날도 찾아올 거란다. 아빠 역시 네 나이 때, 아니 어른이 된 지금도 종종 그런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맬 때가 있단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내가 왜 이럴까?’ 자책하며 감정 그 자체에만 매몰되기 쉽지. 하지만 딸아, 그런 부정적인 감정들은 네가 나약해서가 아니라, 네 마음속 깊은 곳에서 보내는 아주 중요한 신호란다. 네 안의 무언가가 ‘결핍’되어 있다는 간절한 외침이지. 아빠는 최근에 ‘윌리엄 글래서’라는 심리학자의 글을 읽으며 이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단다. 그는 인간의 모든 행동이 다섯 가지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라고 설명하더구나. 오늘은 아빠가 인생 선배로서, 그리고 너를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이 ‘5가지 욕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구나.
첫 번째는 생존의 욕구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고 싶은 가장 기본적인 마음이지. 따뜻한 집, 맛있는 음식, 위험으로부터의 보호처럼 말이야. 사회초년생인 네가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다지기 위해 애쓰는 것 역시 이 욕구를 채우려는 자연스러운 노력의 일부란다.
두 번째는 사랑과 소속의 욕구란다. 우리는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존재들이지. 가족, 친구, 연인과 사랑을 나누고, 어떤 그룹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고 싶어 한단다. 네가 새로운 환경에서 좋은 동료들을 만나고 싶어 하고, 가끔은 친구들과의 시시콜콜한 수다에서 위안을 얻는다면, 바로 이 욕구가 건강하게 숨 쉬고 있다는 증거야.
세 번째는 힘의 욕구다. 여기서 말하는 ‘힘’은 누군가를 지배하는 물리적인 권력이 아니란다. 스스로 무언가를 해냈을 때 느끼는 성취감,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 싶은 마음,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싶은 중요한 사람으로 여겨지고픈 마음을 의미해. 만약 네가 요즘 부쩍 무기력하고 우울감에 시달린다면, 어쩌면 이 ‘힘에 대한 욕구’, 즉 성취에 대한 너의 깊은 열망이 어딘가에서 좌절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몰라. ‘이 정도밖에 안 되는 걸까’ 하는 자괴감은, 사실 ‘나는 더 잘하고 싶고, 더 중요한 사람이 되고 싶다’는 강한 욕구의 다른 얼굴이란다.
네 번째는 자유의 욕구다. 스스로 선택하고, 원하는 곳으로 가고, 내 삶의 주인이 되고 싶은 마음이지. 갓 어른이 된 네가 부모의 품을 떠나 자신만의 공간과 시간을 갖고 싶어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란다. 이 자유의 욕구가 충족될 때, 우리는 비로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책임지는 진짜 어른이 될 수 있단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즐거움의 욕구이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웃고, 놀이를 통해 순수한 기쁨을 느끼고 싶은 마음이지. 우리는 때로 ‘어른은 진지해야 한다’는 강박에 빠져 이 중요한 욕구를 잊고 살 때가 많단다. 하지만 즐거움 없는 삶은 너무나 건조하고 삭막하단다.
사랑하는 딸아. 이 다섯 가지 욕구는 우리 마음속에서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며 우리의 행동을 움직이는 진짜 주인들이란다. 네가 지금 느끼는 감정의 뿌리가 무엇인지 가만히 들여다보렴. 외로움에 사무친다면 사랑과 소속의 욕구가, 답답함에 화가 난다면 자유의 욕구가, 무기력에 빠져 있다면 힘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해 소리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자신의 진짜 욕구를 발견하고 그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순간, 놀랍게도 우리의 얼굴빛은 환해지고 흐릿했던 눈빛은 명료해진다고 해.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되기 때문이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그 욕구를 아주 작게라도 ‘체험’해 보는 것이란다. 네가 어릴 때부터 아빠가 항상 강조해 왔잖니. 일단 한 번은 먹어보고 한 번은 경험해 보라고 말이야. 거창한 계획이 아니어도 괜찮아. 만약 어릴 적 돈이 없어 그저 바라만 보았던 맛집이 있다면, 이제 너의 힘으로 당당히 찾아가 가장 먹고 싶던 메뉴를 주문해보렴. 그것은 생존과 자유, 그리고 성취감(힘)의 욕구를 동시에 채워주는 멋진 경험이 될 거야. 늘 배우고 싶었지만 망설였던 그림 그리기가 있다면, 이번 주말엔 작은 스케치북과 연필을 사서 공원 벤치에 앉아보는 건 어떨까? 이는 너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물하고, ‘나도 이런 걸 해내는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힘을 느끼게 해줄 거란다.
이런 작은 경험들이 하나둘 쌓일 때, 너는 감정에 휘둘리는 사람이 아니라 감정의 근원을 이해하고 스스로를 다독일 줄 아는 지혜로운 사람이 될 수 있을 거야.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이전에는 미처 몰랐던 새로운 너를 발견하며 삶의 즐거움은 배가 될 것이라 아빠는 믿는다.
세상에 첫발을 내디딘 너의 모든 날을, 언제나 여기서 응원하고 있을게.
사랑을 담아,
언제나 너를 응원하는 아빠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