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 인생의 첫걸음을 떼는 딸에게 아빠가 보내는 따뜻한 편지. '인간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지만, 원하는 것을 원할 수는 없다'는 쇼펜하우어의 지혜를 통해 진정한 행복과 자유의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세상이 정해준 욕망이 아닌, 내면의 목소리를 따라 진짜 나의 삶을 살아가는 법. 수많은 선택 앞에서 고민하는 모든 사회초년생을 위한 깊이 있는 인생 성찰 가이드. 내 딸에게 보내는 편지 7,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지만, 원하는 것을 원할 수는 없다 사랑하는 딸아, 벌써 네가 스무 살이 되어 아빠 품을 떠나 너만의 세상으로 첫발을 내딛는 날이 왔구나. 갓 태어나 아빠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며 잡던 너의 작은 손이 아직도 눈에 선한데, 어느새 훌쩍 자라 어엿한 숙녀가 된 모습을 보니 대견함과 함께 세월의 무상함이 느껴지기도 한단다. 이제 막 너의 인생이라는 도화지에 첫 획을 그으려는 설렘과 동시에, 한편으로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도 있겠지. 그런 너에게 아빠가 살아오면서 느꼈던, 조금은 어렵지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 이렇게 펜을 들었다. 아빠가 겪어온 ‘원함’의 실체 아빠의 스무 살은 어땠을까? 그때의 아빠는 ‘원하는 것’이 참 많았단다. 좋은 대학에 가고 싶었고, 남들처럼 멋진 차를 몰고 싶었고, 사회적으로 성공해서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었지. 나는 내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그 모든 것을 ‘원한다’고 굳게 믿었어. 그리고 그것들을 성취하기 위해 앞만 보고 달렸단다. 원하는 것을 이루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품고 말이야. 몇 가지는 이루었고, 또 어떤 것들은 좌절되기도 했지. 그런데 신기한 것은, 그토록 원하던 것을 손에 넣었을 때의 기쁨이 생각보다 길지 않았다는 거야. 오히려 또 다른 ‘원함’이 그 자리를 채우며 나를 다시 채찍질했지.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 ‘내가 정말 원해서 원했던 것일까? 아니면 사회가, 주변의 시선이, 혹은 내 안의 막연한 불안감이 나에게 원하라고 속삭였던 것은 아닐까?’ 결...
쇼펜하우어의 "인생이란 출발점에 서서 보면 끝이 없는 것 같지만, 종착점에서 되돌아보면 매우 짧다"라는 명언을 통해 시간의 역설과 중요성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흐르는 것일까요? 최근의 심리학 연구들을 토대로 그 의미와, 시간을 풍요롭게 사용하기 위한 실천적 지혜를 고민해 보았습니다. 쇼펜하우어의 명언으로 깨달은 인생의 짧음과 소중함 시간의 역설을 말하다 당신은 어린 시절에, 여름방학이 영원할 것처럼 느껴졌던 기억이 있나요?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1년이 쏜살같이 지나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시간의 역설입니다. 쇼펜하우어는 인생과 시간에 대해 이렇게 말한 바가 있습니다. "인생이란 출발점에 서서 보면 끝이 없는 것 같지만 종착점에서 되돌아보면 매우 짧다." 쇼펜하우어가 전하는 이 명언은 우리의 시간 인식이 나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정확히 지적하고 있습니다. 쇼펜하우어, 시간을 바라보는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19세기 독일의 철학자로, 인생의 본질과 시간에 대해 깊이 고찰한 인물입니다. 그의 대표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시간을 인간 경험의 핵심 요소로 보았습니다. 그의 시간관은 현대 심리학 연구와 놀랍게 일치합니다. 인간이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깊은 통찰은 오늘날 시간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간 인식의 심리학: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흐르는가 최근의 연구들에 따르면,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간다"라는 느낌은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었습니다. 미시간 대학교의 심리학자인 신디 러스티그 교수는 "8세 아이에게 1주일은 인생의 큰 부분이 되지만, 80세 노인에게는 훨씬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 2016년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노인들이 120초를 세도록 했을 때, 30세 미만 젊은이들보다 평균 24.6%(28.3초) 더 짧게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