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관계가 유독 힘들까? 자책하고 있나요? 성인이 되어 겪는 관계의 어려움은 내면의 상처가 만든 '애착 유형'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아빠가 스무 살 딸에게 보내는 따뜻한 편지를 통해 회피형, 집착형, 불안형 애착을 알아보고, 나 자신을 이해하는 첫걸음을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내 딸아, 네 마음의 지도를 그려보렴
사랑하는 딸 서현에게.
네가 스무 살이 되어 사회에 첫발을 내디디는 모습을 보니 아빠는 대견하고 뭉클하구나. 앞으로 너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때로는 행복하고, 때로는 힘들고 버거운 관계를 경험하게 될 거야. 만약 관계 속에서 ‘나는 왜 이럴까?’ 하는 자책이 들거든, 오늘 아빠가 해주는 이야기를 떠올려주면 좋겠다.
최근 아빠는 ‘애착 유형’이라는 개념을 알게 됐어. 우리가 성인이 되어 맺는 관계 패턴이, 사실은 어린 시절 내면 깊이 새겨진 상처로부터 비롯된다는 이야기야. 미성숙해서가 아니라, 오래전부터 너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마음의 방어벽 같은 거지.
불안정한 애착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고 해.
첫째는 ‘회피형(도망가기)’이야. 누군가 깊이 다가오면 부담을 느껴 무의식적으로 거리를 두고 자신만의 동굴로 숨는 경향이지. 친밀함 속에서 오히려 답답함을 느끼는 거야.
둘째는 ‘집착형(싸우기)’이란다. 관계의 안정을 위해 끊임없이 상대의 사랑을 확인하려 들고, 작은 행동에도 서운함을 느끼기 쉬워. 상대가 나를 떠날지도 모른다는 깊은 두려움에서 비롯된 행동이지.
마지막은 ‘불안형(얼어붙기)’이야. 상대에게 다가가고 싶으면서도 버림받을까 두려워, 다가가지도 도망치지도 못한 채 그 자리에 얼어붙는 혼란스러운 상태를 말한단다.
혹시 네 안에서 이런 패턴들을 발견하게 되더라도 절대 자책하지 마렴. 그건 너의 잘못이 아니야. 어린 네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만들어낸 생존 전략이었을 테니까. 중요한 것은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야’라고 단념하는 게 아니라, ‘아, 내 안에 이런 모습이 있구나. 이 감정은 과거의 상처에서 온 것이구나’라고 부드럽게 알아차려 주는 것이란다. 그 알아차림이 바로 변화의 첫걸음이거든.
딸아, 이 이야기는 너를 판단하려는 게 아니라 네가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 거란다. 너의 인생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아빠이자 먼저 비슷한 시간을 지나온 인생 선배로서, 나는 항상 네 편이야. 힘들고 길을 잃은 것 같을 땐 언제든 아빠를 찾으렴.
너의 새로운 시작을 온 마음 다해 응원한다. 너는 세상 가장 소중한 아빠의 보물이니까.
영원히 너를 응원하는 아빠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