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 살 딸에게 보내는 아빠의 따뜻한 편지.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명언을 빌려, 세상의 수많은 소리 속에서 흔들리지 않고 자신만의 길과 생각의 정원을 가꾸는 법에 대한 진솔한 조언을 전합니다. 스무 살의 성장을 응원하는 현실적인 격려와 위로를 딸에게 보내는 편지로 작성하였습니다.
스무 살, 너만의 정원을 가꾸고 있는 나의 딸에게
사랑하는 딸에게.
창밖으로 보이는 나뭇잎들이 제법 짙은 녹색을 띠는 걸 보니, 너의 스무 살 여름도 깊어가고 있구나. 네가 세상에 첫발을 내디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어엿한 성인이 되어 너만의 시간을 채워가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가슴 벅차고 대견하다.
아빠는 요즘 서재에 있는 낡은 책들을 다시 꺼내 읽는 소소한 즐거움에 빠져 있단다. 그러다 며칠 전, 쇼펜하우어라는 철학자의 문장 하나가 마음에 툭 걸려 한참을 머물렀어. "사람은 무지할수록 다른 사람의 의견에 빨리 동의한다." 어쩌면 조금은 차갑게 들릴 수 있는 이 문장이, 스무 살을 지나는 너에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되었단다.
여기서 말하는 '무지'는 단순히 지식이 부족하다는 뜻이 아닐 거야. 내가 오랫동안 글을 쓰고 사람들의 삶을 들여다보며 깨달은 것은, 가장 큰 무지는 바로 '나 자신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이라는 사실이야. 내 마음속에 무엇이 자라고 있는지, 어떤 꽃을 피우고 싶은지, 혹은 어떤 잡초를 뜯어내야 하는지에 대한 앎이 부족할 때, 우리는 쉽게 다른 사람의 정원이 더 예뻐 보이고 그 사람의 방식을 정답이라 여기게 된단다.
스무 살은 참 매력적인 나이지. 세상의 모든 문이 너를 향해 열려 있는 것 같고, 수많은 사람들의 목소리와 반짝이는 의견들이 너를 유혹할 테니 말이다. "이 길이 맞아", "이게 요즘 유행이야", "다들 그렇게 살아" 와 같은 달콤하고 그럴싸한 말들 앞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어쩌면 가장 쉬운 선택일지도 모른다. 그 편이 마음 편하고, 무리에 속해 있다는 안정감을 주니까.
하지만 딸아, 아빠는 네가 그 쉬운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서는 용기를 가졌으면 좋겠다. 누군가의 의견에 동의하기 전에, "내 생각은 어떨까?" 하고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작은 습관을 가졌으면 해. 너만의 생각이라는 씨앗은 그렇게 아주 작은 질문에서부터 싹을 틔운단다. 당장 답을 내리지 못해도 괜찮아. "아직 잘 모르겠어"라고 말할 수 있는 것 또한 엄청난 용기이고 지혜란다. 세상은 정답을 강요하는 듯 보이지만, 우리 인생의 많은 부분은 각자의 질문과 고민으로 채워질 때 비로소 단단해지거든.
너만의 정원을 가꾸는 일이라고 생각해보렴. 다른 사람이 보기 좋다는 꽃을 무작정 심기보다, 네가 진심으로 아끼고 물을 주고 싶은 씨앗을 심는 거야. 때로는 서툴러서 잡초가 더 무성할 수도 있고, 생각보다 꽃이 더디게 필 수도 있겠지. 하지만 그 모든 과정 속에서 너는 너만의 색과 향기를 가진 꽃을 피우는 법을 배우게 될 거야. 남의 정원을 부러워하며 따라 하는 사람이 아닌, 자신만의 정원을 가꿀 줄 아는 사람의 얼굴에는 자연스러운 자신감과 편안함이 깃든단다.
그러니 딸아, 조급해하지 마렴. 충분히 흔들리고, 마음껏 질문하고, 너만의 답을 찾아가는 이 과정을 즐기렴. 그것이 너의 스무 살을, 그리고 앞으로의 인생을 가장 너답고 풍요롭게 만드는 길이라는 걸 아빠는 믿는다. 세상의 수많은 소리들 속에서도 너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가장 귀 기울이는 지혜로운 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언제나 네 뒤에서 묵묵히 너의 걸음을 응원하며.
댓글
댓글 쓰기